Telnet
- 원격으로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 23번 포트 사용
- 트래픽 암호화x -> 패킷 스니핑에 취약
- 보안 문제로 대체된 것이 SSH
- NVT라는 가상 터미널의 개념을 사용한다.
+) 패킷 스니핑 : 네트워크 통신을 몰래 도청하는 행위로 wireshark 등의 패킷 분석기로 가능하다.
+) NVT : 송신 호스트로부터 수신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두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양식이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가상 장치
- 동작 원리
1) 클라이언트는 원격 로그인을 통하여 원격지 시스템(서버)에 TCP 연결을 한다 (23번 포트 사용)
2) 원격지 시스템은 연결된 클라이언트에게 가상의 터미널 제공한다
3) 클라이언트는 실제 터미널인 것처럼 원격지 시스템에 명령어를 실행한다
4) 원격지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수행하여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 해준다
SSH
: 기존의 텔넷 등을 대체하기 위해 설계
: 비대칭 함호화 방식 사용
: 22번 포트 사용
(--공개키(비대칭키) 내용 추가--)
[출처,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D%85%94%EB%84%B7
https://dany-it.tistory.com/43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D%81%90%EC%96%B4_%EC%85%B8
https://baked-corn.tistory.com/52
https://ko.wikipedia.org/wiki/%ED%8C%A8%ED%82%B7_%EB%B6%84%EC%84%9D%EA%B8%B0
http://egloos.zum.com/guswl47/v/6481497
https://blog.naver.com/ukyo39/20122115730
https://swalloow.github.io/ssh-tunneling
'Study 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P 동작 방식 + ARP Spoofing (1) | 2020.04.07 |
---|---|
책 정리(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0) | 2020.04.02 |
SSH 패킷 분석 (putty/kali/wireshark) (0) | 2020.03.31 |
Telnet 패킷 분석 (windows/kali/wireshark) (0) | 2020.03.30 |
Nmap (0) | 2020.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