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스코드는 아래와 같다.
4 : body 부분(문서의 내용)을 검정 바탕으로 설정하고
로드시 동작할 함수로 kk(1, 1)를, 키보드를 눌렀을 때 동작할 함수로 mv(event.KeyCode)를 지정한다.
(onkeypress와 even.keyCode 모두 아스키 값을 취급한다)
6 : * 출력한다. 이 때 id는 star이다. (큰 노란 별)
8 : innerHTML은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 요소에 접근할 때 사용된다. body에 <font> 태그를 추가하여 * 출력 (작은 노란 별)
9-16 : mv 함수는 4번 라인에서 body의 onkeypress 속성으로 지정된 함수이다. star의 위치를 바꾼다.
17-20 : kk 함수는 4번 라인에서 body의 onload 속성으로 지정된 함수이다. 랜덤 색의 *을 출력한다. (작은 노란 별 옆에 출력되는 작은 별들)
9 : 매개변수로 cd를 받는데 이 때 cd는 evet.keyCode로 눌린 키보드의 아스키 값을 뜻한다.
10 : kk 함수를 호출하여 별을 출력한다.
11-14 : a, s, d, w를 누르면 star(큰 별)가 왼쪽 아래 오른쪽 위로 움직인다.
15 : cd가 124면 location.href 즉 페이지를 이동한다. 주소는 cd값.php
String.fromCharCode() : 아스키값을 String으로 바꿔준다.
124 아스키 코드를 같는 값은 | (shift + \)이다.
사실 다른 코드는 몰라도 되고 15 라인만 볼 줄 알면 풀 수 있는 문제
파이썬 코드는 별게 없다.
10 : 아스키 값 124에 해당하는 값을 구한다.
11 : url 뒤에 값을 붙인다.
12 : 페이지를 열면 끗
'Webhacking.k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llenge(old)_18 (0) | 2020.05.19 |
---|---|
Challenge(old)_17 (0) | 2020.05.19 |
Challenge(old)_15 (0) | 2020.05.18 |
Challenge(old)_14 (0) | 2020.05.18 |
Challenge(old)_6 (0) | 2020.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