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Log

ping & tracert 명령어

by 꼬마인간 2020. 4. 28.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네트워크 계층의 IP는 UDP와 마찬가지로 비커넥션형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신뢰성을 돕는 프로토콜인 ICMP를 사용한다.

: 단독으로 보내지 X, IP 헤더가 추가되어 보내진다.

타입 메시지의 종류 의미
ICMP ICMP6
3 1 도달 불능 IP 데이터그램을 목적지에 전달할 수 없습니다.
5 137 리다이렉트 현재 경로보다 최적의 경로를 찾았습니다..
11 3 시간 초과 일정 개수 이상의 라우터를 경유한 IP 데이터그램을 파기했습니다.
8 128 에코 요청 이 메시지가 전달되면 답장해주세요.
0 129 에코 응답 메시지가 무사히 도착했습니다.

[ 참고_TCP/IP가 보이는 그림책 ]

 

ping

옵션으로 패킷 크기, 개수, ttl 등을 조절할 수 있다.

default는 패킷 4개

 

TTL

: IPv4 환경에서 TTL 값의 단위는 이며, 이론적으로 이 값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에서 경유하게 되는 모든 호스트에서 1 이상의 양만큼 감소될 수 있다.

: 그러나 실제 적용에서 TTL 값은 매 홉(hop)마다 1씩만 감소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IPv6에서 이 필드의 명칭은 홉 리미트(hop limit)로 변경되었다.

 

: 데이터 패킷은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를 거치면서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경유하는데

  패킷이 다음 네트워크 장비로 이동할 때마다 홉이 하나 발생한다.

 

 

*tracert는 ICMP를 이용하고 traceroute는 udp 패킷을 이용하는거라 "다른" 명령어 입니다!

tracert

: 맨 왼쪽부터 홉수 / 평균 결과를 얻기위해 3번 조사한 통신에 걸린 시간 / 경로 정보

: IP 헤더의 "생존 시간" 항목에 1부터 점차 증가시켜 나가면서 돌아오는 ICMP 메시지를 이용한다.

 

ttl로 os 확인하기

localhost로 ping을 한 결과

TTL을 확인해보면 128임을 알 수 있다.

OS별로 디폴트 ttl 값이 다르기 때문에 대략적인 추측이 가능하다.

128은 윈도우 255는 유닉스 계열이라고 하네요.

https://www.codns.com/b/B05-1830<- OS별 ttl 값

 

www.google.kr로 ping을 한 결과 ttl이 51이고

tracert를 한 결과 홉이 12개(마지막은 목적지)이므로 

51 + 12 = 63

대략적으로 63을 가진 OS를 찾아보면 되겠죠..?

 

[출처,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D%99%89_(%EB%84%A4%ED%8A%B8%EC%9B%8C%ED%81%AC)

https://ko.wikipedia.org/wiki/Time_to_live

https://ryusstory.tistory.com/entry/ping%EC%9D%84-%ED%86%B5%ED%95%9C-TTL-%EA%B0%92%EC%97%90-%EB%94%B0%EB%A5%B8-%EC%9A%B4%EC%98%81%EC%B2%B4%EC%A0%9C-%ED%99%95%EC%9D%B8-TTL-256-128-64

 

'Study 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c 기초 - 1  (0) 2020.05.26
TCP 소켓 프로그래밍_노트 정리  (0) 2020.05.13
CSRF, SSRF, XSS(Stored, Reflected)  (1) 2020.04.19
*Introuction of Webhacking 정리 (dreamhack.io)  (0) 2020.04.14
ARP 동작 방식 + ARP Spoofing  (1) 2020.04.07

댓글